화재 안전
기기가 매우 뜨겁거나 냄새가 심한 경우에는 배터리를 분리하지 마세요. 기기에서 활발하게 연기가 난다면 주변을 치우세요.
기기를 움직일 수 없다면 모래, 승인된 소화기, 큰 물컵 한잔으로 끄거나 내화성 용기로 덮어 화재를 진화하고 거리를 두세요. 안전하게 기기를 움직일 수 있다면 내화 공간 또는 통풍이 잘 되는 (콘크리트 바닥) 곳으로 옮긴 다음 배터리가 식을 때까지 기다리세요. 배터리에 불이나면 연료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불은 계속 탈 것입니다.
경고
부풀어 오른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 또는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전자 기기의 부풀어 오른 배터리 분리할 때는 극도로 조심히 진행해야하며 위험 부담은 전적으로 사용자의 책임입니다. 만약 안전히 진행할 귀하 스스로의 능력이 의심된다면, 기기의 전원을 끄고 기기를 격리한 다음 전문 수리 기술자에게 즉시 연락하세요.
부풀어 오른 배터리를 분리하는 것은 위험이 따를수 있지만 기기 내부에 부풀어 오른 배터리를 놓아두는 것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잠재적 기기 및 신체 상해를 방지하려면 부풀어 오른 배터리로 기기를 작동하면 안됩니다. 이 지침은 부풀어 오른 배터리를 분리하는 최상의 방법을 제공하지만 안전한 수리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확신이 없다면 기기 전원을 끄고, 내화 용기에 넣어 수리 전문가에게 가져가서 고장난 배터리를 분리해달라고 요청하세요. 부풀어 오른 배터리 분리는 지체하지 마세요. 부풀어 오른 배터리를 iFixit에서 구입한 경우, 배터리를 분리하기 전후의 배터리 사진을 찍은 다음 고객 서비스 팀으로 문의하여 보증 청구 또는 교체를 요청하세요.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면 어떻게 됩니까?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학 반응을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합니다. 배터리가 오래 되면 이 화학 반응이 더 이상 완벽하게 완료되지 않으면 가스를 배출하여 (outgassing) 배터리를 부풀어 오르게 합니다. 또한 배터리 내부 층들이 (손상이나 결함으로 인해) 적절히 분리되지 않으면 가스 배출, 팽창 및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팽창은 미립자가 배터리의 층들 사이에 갇혀 결국 층들을 분리하는 막에 구멍을 내어 발생합니다. 막이 손상되면 공기 중의 수분이 세포와 반응하여 세포를 부풀어 오르게 합니다. 이 폭발 반응은 Samsung Galaxy Note7과 호버보드에 영향을 미쳤으며 배터리 항공 운반 및 기내 휴대를 엄격히 제한하게 되었습니다.
부풀어 오른 배터리 식별 방법
기기 검사하기
부풀어 오른 배터리는 팽창하여 다른 부품들을 밀어내기 시작합니다. 흔히 화면, 버튼 또는 트랙 패드가 정상 배열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휴대 전화 케이스가 예전보다 잘 맞지 않거나 부품 사이에 새로운 간격이 생기고 버튼이 뻑뻑하여 누르기가 힘이 들고 기기가 평상시보다 많이 “물렁”하다면 배터리가 부풀어 올랐을 수 있습니다.
냄새로 식별하기
냄새 맡기 테스트를 안전히 연습하세요! 절대로 위험한 물질을 얼굴 가까이 하지말고 숨을 깊게 들이쉬지 말며—배터리 근처 영역 공기가 퍼져 나가게 하세요. 부풀어 오른 배터리에서 달콤한 금속성 화학 냄새가 나면 배터리 가스가 누출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배터리 검사하기
MacBook 또는 iPhone 처럼 배터리를 건드리지 않고 기기를 열 수 있다면 (배터리 교체 안내서를 참조하세요!) 기기를 열어 배터리가 부풀었는지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포장이 느슨하거나 주름있고, 모양이 사각형보다 둥글게 보이거나, 제위치에서 들어 올려진 것처럼 보인다면 배터리가 부풀어 오른것 입니다.
부풀린 배터리를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
시작하기 전에
배터리가 부풀어 올랐다고 의심되면 기기를 충전하지 마세요. 가능한 한 배터리를 많이 소모하세요—이는 화재 위험을 줄입니다.
스스로 보호하기
개스가 확산되도록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작업하세요. 보호 안경을 착용하세요—풀 고글이 이상적이지만 안전 안경이라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화학 물질에 피부가 닿지 않도록 장갑을 착용하세요. 손상된 배터리를 안전하게 옮길수 있도록 길고 뭉툭한 집게를 준비하세요.
작업 환경 준비하기
배터리가 연소되거나 누출되는것을 대비하여 배터리를 안전하게 보관할 장소가 필요합니다. 불연성 표면과 서늘하고 건조한 실외에서 작업하세요. 봉인된 금속 캔, 금속 양동이에 담긴 모래, 또는 그와 동등한 내화 용기를 준비하세요. 금속 리튬은 물과 반응하여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물은 사용하지 마세요. 만약 물 사용이 불가피 하다면, ''많이 사용하세요''. 실내에서 작업하는 경우, 배터리의 화학 반응이 안전하게 실외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트인 통로를 마련해야 합니다.
배터리 분리하기
위의 예방책을 준비한 후에 배터리 분리를 시작하세요. 대부분의 경우 기기의 배터리 교체 안내서를 따르면 되지만 분리 작업 도중 배터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배터리가 제자리에 접착되어 있다면 iFixit의 접착제 제거제, 고농도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아세톤과 같은 용제를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용제는 배터리를 비집어 내거나 구부릴 필요성을 최소화합니다. 아세톤은 플라스틱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모든 용제는 인화성이 있으므로 가급적 적게 사용해야함을 명심하세요. 플라스틱 도구만 사용하고 배터리 포장재를 뚫을 정도의 날카로운 물건은 피하세요—배터리에 구멍을 내면 위험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느 시점에서든 냄새가 증가하고, 기기가 과열되거나 연기가 나기 시작한다면 기기를 외부로 옮기거나 내화 용기에 넣어 화학 반응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리고 나서 다시 시도하세요.
부풀어 오른 배터리 처리하기
분리한 배터리는 안전하게 폐기해야 합니다. 배터리를 쓰레기통이나 재활용 수거함에 버리지 마세요. 배터리를 물 속에 넣거나/보관하지 마세요. 배터리가 따뜻해지고, 냄새 또는 연기가 나면 인화성 물질로 부터 멀리하거나 내화성 용기에 넣어 화학 반응이 소멸될 때까지 기다리세요. 안전해지면 배터리를 지역 전자 폐기물 수거 장소로 가지고 가세요; 해당 지역의 전자 폐기물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우편으로 배터리를 전자 폐기물 처리 시설로 보내지 마세요—배터리가 운송 중에 손상을 끼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있습니다.
배터리 관리하기
배터리는 소모품이며 아무리 잘 사용해도 결국 교체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다음은 배터리를 건강하고 오래 유지하는 몇 가지 모범 사례 입니다. 하지만 부풀어 올랐거나 결함이 있는 배터리는 고칠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이런 배터리는 분리만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힌트들은 배터리 성능 저하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천천히, 조절된 충전 및 방전하고, 적당한 온도에서 사용하며, 충격 또는 손상으로 부터 보호될 때 배터리는 최상을 유지합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노트북 배터리는 고속 충전 또는 방전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고속 충전 또는 방전은 배터리를 일찍 닳게하며 가스를 방출할 수 있습니다. 저품질 또는 손상된 충전 케이블 및 어댑터는 통제 불능, 불균형 또는 과도한 전원 관리로 인해 손상 또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피하세요. 배터리를 100% 충전 또는 완전히 방전한 상태로 방치하면 배터리 수명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몇 주 이상 사용하지 않고 기기를 보관하려는 경우 약 40%까지 충전/방전하고 전원을 꺼주세요. 또한 고온은 배터리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뜨거운 날에는 휴대 전화를 차 안에 두지 마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휴대 전화를 떨어 뜨리면 화면 뿐 아니라 배터리도 손상된다는 것입니다.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는 사고 발생 시 구부러지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배터리를 떨어 뜨렸을때 접착된 배터리가 다른 부품과 충돌하여 구멍을 낼 수 있습니다. 배터리가 손상되었거나 더 이상 적절하게 충전되지 않는 경우 교체하세요.
Tl;dr: 배터리를 잘 관리하세요. 부드럽게 사용하고 손상되었거나 더 이상 적절하게 충전되지 않은 경우 교체하세요.
다음 번역가들에게 특별히 감사 드립니다:
100%
이 번역자 분들은 저희가 세상을 수리하는데 동참해 주시는 분입니다! 기여하시겠습니까?
번역 시작하기 ›
44 댓글
Leaving your device plugged in forces it to drain and charge many times an hour, which can degrade the battery - this is rubbish. If the device is plugged in the battery will usually end up fully charged - which is not ideal as about 40% charge is best for battery longevity - but it won’t drain and charge continually. Instead, once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it is essentially removed from the circuit and the charger powers the device.
Using a non-certified charging cable or adapter risks uncontrolled, uneven, or excessive charging that can cause damage or even result in fire - this is not quite true. All devices contain a charge controller that prevents overcharging regardless of the charger used. However, cheap chargers may subject you to the risk of electrocution, may produce ‘noisy’ DC that reduces the performance of the touchscreen, or may themselves catch fire. A damaged charger cable can also overheat and cause a fire.
Andrew - 답글
perfectly true "thumb up "
Iti Tech -
Depends on the design of the charging circuitry. While your statement of “battery being decoupled if fully charged” might be true on some devices, the usual (because simpler to design and cheaper due to less parts) approach is to power the device through the battery. Even if a charger is connected.
Yannik -
I feel that when battery is full-4.2v phone stops
current from the charger to discharge battery to
4v let's say.then again charges it to 4.2v and so on.effective way to unnecessary cycle the battery to lower its lifetime on purpose.
daniel1 lungu -
This is not true for mobile phones - my understanding is that they run off the battery regardless of whether they’re plugged into a charger or no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battery is capable of delivered much greater transient current than the charger is, and there are several devices in a phone (the radio transmitter for a start) that demand high transient currents from their power source. So the phone is wired to charge the battery from the charger & power the phone from the battery - it cannot run itself from the charger. I don’t know whether the same is true for modern laptops.
Phil Armstrong -